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어선원의 안전·복지공간을 확대하고 조업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근해통발 표준선형이 적용된 시제선을 건조하고, 31일(금) 경북 포항 영일만에서 진수식을 개최한다.
현재 운영 중인 근해통발 어선은 절반 이상이 선령 16년 이상된 노후어선으로 사고 위험성이 높은 것은 물론, 선형이 좁고 낮아 복원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에너지 효율이 낮아 연료비가 높고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도 많이 배출하였으며, 어선원을 위한 복지공간도 부족하고 열악한 실정이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242억 원을 투입하여 연근해 10개 업종의 표준선형을 개발·보급하는 ‘차세대 안전·복지형 어선개발(R&D) 사업’을 통해 어선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복지공간 확대와 안전도 제고를 추진해 왔다. 이번 근해통발 표준어선은 이 사업의 일환으로 건조되었으며, 전장 33m에 11명의 선원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존 근해통발 어선에 비해 길이(32.5m→33.2m), 폭(6.3m→ 7.1m), 깊이(2.5m→2.6m)를 전반적으로 확장하여 복원성을 확보하고, 기존에 지하에 있던 선원실 위치를 1층으로 변경하고 출입로를 넓혀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선원들의 탈출이 용이하게 하는 등 선박 안전을 강화하였다. 또한, 바람이나 파도 등에 저항이 적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선형을 개발·적용하여 기존 선박 대비 유류비를 7% 이상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선원실을 전원 침대실로 바꾸고 대부분 재래식이였던 기존 화장실에 좌변기를 설치하는 등 선원실, 화장실, 주방, 식당, 샤워실, 휴게시설 등 선원 생활공간을 쾌적하게 개선하였다. 이에 더하여, 향후 근해통발 어선 건조 시 표준선형을 적용하면 설계비 절감의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용석 해양수산부 어업자원정책관은 ”해양사고 예방 및 어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어선원의 안전·복지를 보장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현대화된 어선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라며, ”2021년까지 차세대 안전·복지형 어선개발사업(R&D)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개량안강망, 안강망, 연승, 자망어업까지 표준선형 개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