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희자 시인) 한국창작문학 2021년 여름호 등단 / 류시호 논설위원
  • 평소에 꽃을 좋아해서 산책길에 예쁜 꽃을 만나면 들여다보고,
  • 모란

        

                  신 희 자

        

    널따란 정원에

    고품격 부귀영화

    자줏빛 홍안으로

    여왕님이 납시었다

        

    격조 있는 여유로움

    부드러운 우아함 입고

    노랑나비 호랑나비

    나풀나풀 시중받으며

        

    이팝나무

        

                     신 희 자

        

    소복소복

    하얀 쌀 떡시루

    오월 가로수길

        

    고픈 배 움켜쥐던

    조상님 위로하는

    이팝나무 쌀  

        

    당현천 산책길

    꽃잎이 쌀눈 되어

    뚝뚝 떨어진다.

        

    트롯 사랑 고추

        

                                   신 희 자

        

    육십 넘은 친구들

    찾지 않던 고향 빈밭

    호박 고추 감자 심고

    비가 올까 바람 불까

    걱정거리 늘어놓네

        

    햇살 가득 푸른 텃밭

    넘실넘실 부는 바람

    풍성하게 자라도록

    신바람 트롯 들려주며

    사랑 먹고 잘 자라라

        

    주중에는 손주 엄마

    주말에는 고추 엄마

    흥겨운 노래 들으며

    고추들과 손잡고

    덩실덩실 춤을 춘다.

        

    신희자 프로필

        

                 -한국문학예술인협회 사무국장

                 -비둘기 창작사랑방 2기 회장

                 -한국문화전통예절원 강사

                 -제53회 신사임당 백일장 <시 부문>입상

                 -공저 : 창작인의 문학노트

        

      당선 소감

                                                 신 희 자

    몇 해 전, 비둘기 창작방에서 류시호 교수님을 만나 글쓰기 공부를 시작한 후 작년에 비둘기 창작사랑방 7기 동기생들이 의기투합하여, ‘창작인의 문학노트’동인지를 발간하는 기쁨을 시작으로 글쓰기에 관심이 더욱 커졌다.

    윤정희 주연의 영화 ‘시(詩)’에서 시를 쓰려면 눈에 보이는 자연을 관찰하고 살펴보는 일이 시작이라는 대사가 떠 오른다. 평소에 꽃을 좋아해서 산책길에 예쁜 꽃을 만나면 들여다보고, 벌과 나비의 마음으로 향기도 맡아보고 꿀맛도 느껴보고 싶어진다. 모란, 금낭화, 철쭉, 유채꽃, 매화, 이팝나무꽃, 블루베리꽃 등 시를 써서, 지인과 공유하니 좋다고 격려하며 풀무질 해주시니 고마운 분들이다.

     ‘시인은 우주 만물을 탐험하는 언어의 고고학자 또는 언어의 제사장이다.’라고 김명희 시인이 말을 했다. 이제 방금 알에서 졸탁동시(?啄同時)를 마치고 얼굴 내미는 병아리인 듯 무척 조심스럽다. 더욱 노력하고 정진하여 마음의 눈을 밝혀 평안함을 글로 나누고 싶다. 부족한 저의 글을 지도해주신 류시호 교수님과 심사해주신 (사단법인)한국창작문학인협회 심사위원님들과 심의표 이사장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 글쓴날 : [21-06-23 14:41]
    • 다른기사보기 류시호 기자의 다른기사보기